한줄간격주기
한줄간격주기
7 |
| 지역 혁신 실증 스케일업 |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ㅇ 특구 내 기업의 기술·제품에 대한 수요와 연계한 기술사업화 실증을 통해 시장진출 및 사업화 성과 창출
□ 사업내용
ㅇ 지역 내·외 수요자, 공공기관 등과 연계한 현장 적용 및 Pilot-Test, R&BD 지원 등 기술 스케일업 지원
- 대구연구개발특구 지역특화 분야*를 포함하여 지역 전략 육성분야 중점 지원
* 대구연구개발특구 지역특화 분야 : ① 첨단 ICT 융합 , ② 전기자율모빌리티 부품
구 분 | 정 의 |
첨단 ICT 융합 | ICT기술이 접목된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등의 기술을 기존산업에 적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 센싱, 논리제어, 판단, 통신 기능 통합 차세대 고성능 센서 반도체의 설계 및 소재∙부품∙장비 제조 기술 및 산업 등 |
전기 자율 모빌리티 부품 | 전기자율 모빌리티 분야의 친환경 및 고성능‧고효율 모빌리티 부품/모듈 제조 및 이와 연관된 산업으로서 고부가가치 전기자율 모빌리티 부품 제조 및 이와 연관된 기술 및 산업 |
2. 지원내용
□ 예산규모 : 총 1,425백만원(신규 지원과제 기준)
ㅇ 과제별 지원규모
구 분 | 일반형 | 대형 |
총사업기간 | 협약일로부터 ’26. 12월말까지 | 협약일로부터 ’26. 12월말까지 |
과제별 총정부 지원연구개발비 | 525백만원 | 1,750백만원 |
연차별 정부 지원연구개발비 | 1차년도(9개월) 225백만원 / 2차년도(12개월) 300백만원 | 1차년도(9개월) 750백만원 / 2차년도(12개월) 1,000백만원 |
비고 | 정부지원연구개발비는 `25년만 확정이며, 총 정부 지원 연구개발비는 사업예산 상황에 따라 변경가능 |
※ 지원규모, 지원금액, 지원기간 및 지원대상 과제 수는 평가위원회 및 심의위원회(기술사업화추진위원회)에서 결정
※ 총 지원과제 중 30% 내외는 연구소기업으로 지원하되 접수현황 및 평가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지원대상 : 특구 내 기업 또는 기업·공공연구기관 등의 컨소시엄
ㅇ 주관연구개발기관 : 대구특구 내 기업, 대구·경북 소재 특화기업*
* 해당 기업은 본사, 지사, 기업부설연구소, 공장 등이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한 국내법인에 한하며, 사업자등록증, 기업부설연구소 인정서, 공장등록증 등을 통해 증빙해야 함
※ 대구·경북 소재 특화기업의 경우 특구 내 공공연구기관과 컨소시엄 구성 필수
ㅇ 공동연구개발기관 : 기업, 연구기관(대학, 출연(연), 전문(연)), 산업기술연구조합 등 관련 분야 기관과 컨소시엄 구성 가능
ㅇ 공공연구기관 조건은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5호에 따름
가. 국립연구기관 나. 정부출연연구기관(특정연구기관 육성법,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적용기관) 다. 그 밖에 다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연구개발과 관련된 법인(대통령령) 1.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산학협력단 포함) * 동 조건에 포함되는 공공연구기관의 소재지는 종된 분단도 포함 2. 「국방과학연구소법」에 따른 국방과학연구소 3.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제42조제1항에 따른 전문생산기술연구소 4.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른 공기업 또는 준정부기관으로부터 연구개발 사업에 드는 연간 비용의 2분의 1 이상을 출연받거나 보조받는 법인 5. 「공익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으로서 같은 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학문 또는 과학기술의 연구·조사·개발·보급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법인 6.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으로서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의2제1항에 따른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둔 공공기관 7.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제15조제1항에 따라 연구중심병원으로 인증된 병원 8. 그 밖에 제1호부터 제7호까지에 준하는 법인으로서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관 * 동 조건에 포함되는 공공연구기관의 부설연구소(분원)도 포함 |
□ 지원내용 : 지역 기업의 제품(서비스)·기술을 지역 내·외 수요자의 요구 수준에 맞춘 기술 스케일업 지원
ㅇ 수요자 연계 Pilot-Test, 현장 적용, 시작품 제작 지원 및 시제품 신뢰성 평가·인증 등 수요 맞춤형 스케일업 지원
□ 지원분야 : 2024년 지역 혁신 실증 스케일업 기획 사업을 통해 기획된 지역 내 실증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지원하되, 해당 프로젝트 이외에도 자유롭게 신청 가능
ㅇ 대구특구 실증 프로젝트 기획 과제 현황
구분 | 유형 | 프로젝트명 | |
1 | 일반 | 민간수요 대응 | ICT 기반 산업 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
2 | 일반 | 민간수요 대응 | SCADA 기반 인공지능 에너지 절감 시스템 실증 |
3 | 일반 |
포인트 선물 선물명단 선물하기
최소 50P ~ 최대 300P 까지 가능합니다.
선물하기 수수료는 10P 입니다.
로그인 후 선물하실 수 있습니다.
선물 받은 내용이 없습니다.
한줄간격주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줄간격주기